예술을 통한 마음의 웰빙45 초현실주의 미술, 세계 대전으로 창조된 예술의 사조 20세기 초 유럽은 그야말로 질풍노도의 시기였다. 유럽이 가장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을 때 예상치 못하게 들이닥친 세대 대전과 전염병은 유럽인들을 혼란스럽게 했고, 주어진 현실에 회피할 수 있는 모색을 찾아 무의식의 세계로 빠져드렸다. 이러한 시기에 출현한 초현실주의 미술은 이후의 오늘날 미술작가들에게도 크나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번글에서는 이렇게 잠재의식을 기조로 발전한 초현실주의 미술의 배경을 살펴보고 '언캐니(uncanny)'함을 표현하기 위한 그들만의 미술기법들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초현실주의의 출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은 그야말로 초토와 되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연이어 유럽을 휩쓸었던 스페인독감으로 인해 전쟁으로 인한 희생자들만큼의 인원이 또 사망했다. 이렇게 전쟁과 질병으로 생.. 2023. 5. 28. '게르니카'에 투영된 피카소의 절규와 아티스트의 시대정신 20세기초 입체파 미술을 이끌었던 스페인의 작가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는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고향 스페인에서 지속적으로 들려오는 내전 소식은 그동안 잠재워졌던 그의 조국애를 자극했고 그는 작품을 통해 작가적 시대정신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이번 글에서는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진한 감동을 전하고 있는 '게르니카(Guernica)'에 담긴 피카소의 절규와 아티스트의 시대정신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게르니카의 대학살 1937년 4월 26일 스페인 바스크지역의 한 도시 게르니카는 히틀러가 이끄는 독일 나치 군에의 무차별 공중 폭격을 당한다. 당시 스페인에서는 사회주의(Nationalist)를 지지하는 좌익 공화정부와 극우 민족주의(Fasist) 지지파 간에 내전이 일어.. 2023. 5. 28. 빅토리아 여왕과 알버트 왕자가 영국 미술과 디자인의 발전에 미친 영향 영국의 최고 전성기를 살다간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과 그의 동반자 알버트 왕자(Prince Albert)가 자국의 미술과 디자인의 발전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사람의 혜안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던 '만국 박람회(The Grate Exhibition)'의 배경과 당시 많은 주목을 받았던 참여 국가의 작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빅토리아 여왕과 알버트 왕자 유럽의 섬나라 영국은 주변국으로부터 적지 않은 침략의 위협을 견뎌내며 나라의 위상을 굳건히 지켜왔다. 제국주의시대 때 수많은 식민국들을 보유하고 19세기 산업혁명이 가져다준 경제적 부를 동시에 거머쥐며 세계 최강의 나라로 거듭났지만 오늘날의 영국을 있게 한 건 1800년대 마지막 반세기를 다스렸던 빅토리아 여왕과 그.. 2023. 5. 16. 사진의 발명이 가져온 미술의 진화, 인상주의와 모더니즘 미술의 출현 사진의 발명은 서양미술사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화가들은 사물의 사실적 묘사라는 임무에서 해방되어 빛, 색, 선과 구도 등 회화의 기본 요소들을 연구하여 그 안에 작가적 감성을 담아내는 데에 더욱 집중했다. 본 글에서는 사진의 발명 이후 등장한 인상주의와 모더니즘 미술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한다. 사진의 발명 19세기초 프랑스 미술계에는 쿠르베(Gustave Courbet)와 같이 산업혁명이 인간의 문명에 끼친 부정적 영향을 현실적으로 그려낸 '사실주의' 작가들과 밀레(Jean-Francois Millet)와 같이 전원으로 돌아가 농촌의 피폐한 현실들을 따스한 감성으로 담아낸 '바르비종 학파'등이 주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사진의 발명으로 미술계는 뜻하지 않고 예상치도 못한 변혁의 .. 2023. 5. 12. 과일속에 감추어진 알레고리 미술: 사과, 포도, 오렌지 서양미술의 역사에서 알레고리란 한 인물에 대한 아이덴티티를 알리는 단서로 사용되어 왔다.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그리스 신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더욱 인기 있었던 알레고리 회화는 한 인물 혹은 집안의 교양과 부의 척도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알레고리 중에서도 사과, 포도, 오렌지라는 이 세 가지 과일 속에 감추어진 알레고리 미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과일 속에 감추어진 알레고리, 사과 서양미술에서 사과라는 열매는 유혹, 원죄, 욕심 그리고 죽음이 예견된 운명이라는 알레고리로서 사용되었다. 그 대표적인 소재중 하나는 우리에게도 많이 알려진 '아담과 이브'에 관한 이야기일 것이다. 구약성경 창세기에 쓰인 이 일화는 그동안 고전미술화가들의 작품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그도 그럴 .. 2023. 5. 6. 서양미술사에 그려진 모성애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피카소 5월 가정의 달은 그 여느 때 보다 부모와 자식 간의 끈끈한 애정의 고리를 확인하는 달이다. 이번 글에서는 어버이날을 맞이하며 서양 미술사로 보는 모성애의 역사와 기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입체파의 대부인 피카소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어머니의 사랑과 그리움 어떻게 표현하였는지도 들여다보고자 한다. 서양미술에 나타난 모성애의 기원 서양 미술의 역사에서 '모성애(motherhood)'는 수많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미술사적 전문용어로 'Mother and Child(모자상)'이라 불리는 이 모티브는 서양미술에서 '성모 마리아와 예수님'의 모습으로 재현되었다. 사실, 이러한 모성애의 기원은 이보다 훨씬 이전인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아이시스(Is.. 2023. 5. 3. 영국 월래스 컬렉션의 역사와 대표 소장품 월래스 컬렉션(Wallace Colleciton)의 역사 태양왕 루이 14세의 엄격한 규율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로운 화려함과 향락의 극치를 보여주었던 프렌치 로코코 (French Rococo) 스타일과 그 이후 마리 앙투와네트 여왕이 즐겨했던 네오 클래식(Neo-Classic)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장식 미술의 전성기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박물관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은 프랑스 파리가 아닌 영국 런던의 중심가에 위치한 월래스 컬렉션 (The Wallace Collection)이다. 허르포드 하우스 (Herford House)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월래스 컬렉션의 역사는 당시 유럽 최고의 부호였던 영국의 허르포드 후작(marquess) 집안이 1797년에 구입한 대저택에서부터 시작한다. .. 2023. 5. 1. 아이 웨이웨이의 작품세계-'Remembering','Sunflower'. 이번 글에서는 중국계의 세계적인 현대미술 아티스트이자 사회운동가인 아이 웨이웨이(Ai Weiwei)의 작품세계를 그의 대표작품 'Remembering (2019)'과 'Sunflower (2010)' 작업을 통해 드려다 보고자 한다. 아이 웨이웨이 (Ai Weiwei) 아이 웨이웨이 (Ai Weiwei)는 현재 런던을 기점으로 유럽 전역을 오가며 설치, 회화, 건축, 인권운동, 전시기획 등 다방면에 걸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미술작가이다. 그는 1957년 중국 베이징 출신으로 시인이셨던 아버지가 중국의 문화혁명기에 반우파 운동을 하여 중국 신장 지역으로 온 가족이 하방(下放)되어 그곳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참고로, 하방이란 중국 문화혁명기에 정부에 반하는 행동을 하는 도시 청년과 지식인들을 농촌으로 .. 2023. 4. 25. 아랍의 파리, 베이루트의 현대미술과 아트마켓 베이루트는 아랍지역의 파리(Paris)라고 불릴 만큼 오래된 문화적 유산과 도시의 세련됨이 공존하는 도시이다. 가톡릭교회와 이슬람 모스크가 맞닿아 있고, 밤에는 나른한 재즈 음악이 도시를 감싸는 매력적인 도시 베이루트는 중동 및 아랍 현대미술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이번 글에서는 아랍현대미술의 싱크탱크의 역할을 하기도 하는 베이루트의 현대미술과 아트 마켓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랍의 파리, 베이루트 '아랍지역의 파리(Paris)'라고 불리는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Beirut)는 인구 150,0000명이 살고 있는 중동의 메트로폴리탄이다. 시리아와 이스라엘 사이에 위치한 이곳은 5000년이라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시내 중심에 위치한 모하마드 알아민 모스크(Mohammad Al-Amin Mo.. 2023. 4. 22. 이전 1 2 3 4 5 다음